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시각장애인의 합리적 활동을 위한 Sign에 관한 연구/317-328
글쓴이 손계중,강성윤 날 짜 2006-03-01 12:27:18
첨부파일 손계중강성연.pdf
내용 시각장애인의 합리적 활동을 위한 Sig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gn for Reasonable Activities of The Visually-Disabled 




손 계 중, 강 성 윤 

조선이공대학 
------------------------------------------------------------ 
Contents 

Abstract 

Ⅰ. 서론 

Ⅱ. 시각장애인에 관한 일반적 개요   
1. 명칭   
2. 시각장애인에 관한 현황 

Ⅲ. 편의시설 및 설치에 관한 분석   
1.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안   
2. 정보매체 및 Sign체계   
3. 편이시설의 문제점 및 실태조사 

Ⅳ. 미국, 일본 사례와 비교분석   
1. 미국 
2. 일본 

Ⅴ. 결론 

논문요약 

장애는 정신․신체적 행동의 제약으로 이어진다. 이전의 장애 조건과 혜택들이 현재는 폭넓게 수용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장애인 복지정책 및 편의시설에 관한 세부기준안 등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이것은 장애인이 한정된 공간에서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 갈 권리가 있다는 인식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국가별 인구대비 장애인 수의 비율을 보면 
일본 3.60%(1991년), 독일 8.40%(1991년), 
호주 15.6%(1987년), 미국은 20.6%로서 
한국 3.09%(2000년)보다 높게 나타나지만 이것은 생식기, 소화기, 암, AIDS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사내용을 근거로 볼 때 한국과 다른 국가들과는 장애에 대한 기준과 기본적인 인식에서부터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회활동의 역할과 영역에 있어서도 시각장애인은 주로 안마사나 역학 등의 업종에 종사하고 있어 급변하는 현대 문명의 흐름 속에서 동시대를 살아가는 비장애인에 비해 기술적, 문화적, 경제적 차이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시각장애인이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을 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없도록 국가와 사회가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편의 시설에서는 도로, 공원, 공공시설 및 공중이용시설, 공동주택, 교통수단, 통신시설 등 이외에도 유도블럭, 음향․음성 유도신호장치, 점자안내판이 설치기준에 맞게 설치되었는지, 문제는 없는지, 개선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실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또 외국의 좋은 사례들을 통해 도시나 지역 환경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Disability leads to restriction on physical and mental behaviors. Currently, as conditions and benefits of disability are widely recognized, specifications on welfare policy and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This is due to the recognition that the disabled have rights to live as a member of our society.The proportion of the disabled to the national population in each country is presented as follows: 3.60% in Japan (1991), 8.40% in Germany (1991), 15.6% in Australia (1987), and 20.6% in the U.S.A.. They are usually higher than 3.09% in Korea (2000), but they include diseases on genital organs, digestive organs and cancers, and AI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assumed that the standards and basic recognition about disabilities in Korea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visually-disabled are engaged in such jobs as massagists or fortunetellers, so their cultural and economic level are lower than those of non-disabilities. 
Therefore, to guarantee their basic living and social activities, society and government should provide financial and political support: For example, they should give more care about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roads, parks, public facilities, public housing, transportational vehicles, communicative facilities, aide blocks, aide signal devices and Braille signboards. This is a time to demand consistent research and practice on whether there is any problem in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way to improve them. Also it is thought that a proper application of good examples from foreign countries for our country is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