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이미지와 텍스트에서 알레고리 수사어법에 관한 연구-현대 타이포그래피 표현경향을 중심으로-/491-500
글쓴이 김민정 날 짜 2006-03-01 11:49:12
첨부파일 김민정.pdf
내용 이미지와 텍스트에서 알레고리 수사어법에 관한 연구 
-현대 타이포그래피 표현경향을 중심으로- 
A research about the rhetoric expression of allegory in image and text 
- focused on typography expression tendencies of today - 




주저자 : 김민정(Kim, MIn-Jeong) 
신라대학교, 동명정보대학교 출강 
-----------------------------------------------------------------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내용 

2. 텍스트와 형상의 상호매체성-알레고리 
 2-1. 알레고리의 개념 
 2-2. 현대의 알레고리 

3. 해체주의 
 3-1. 쟈끄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 
 3-2. 이미지와 텍스트-상호텍스트성 
 3-2.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해체주의 특성 

4. 현대 타이포그라피에 있어서 알레고리의 역할 
 과 기능 
 4-1. 커뮤니케이션 기능 
 4-2. 조형적 기능 

5. 결론 

참고문헌 




요약 

현대의 정보전달 방식이 읽는 것에서 보는 것으로 이동해가고 있는 오늘날 조형예술에서 일어나고 있는 눈에 띄는 새로운 경향은 의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이미지의 역할은 점점 커지는 반면 텍스트는 점점 감소하거나 해체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문자의 혼합과 해체, 이미지의 중첩과 해체, 그리드의 파괴, 불협화음과 부조화, 형태의 왜곡과 단편화, 병렬배치 등의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무엇을 어떻게 보느냐’로 유도된다. 
알레고리의 목적은 표현이 지시하는 의미의 ‘애매성’을 통하여 ‘다의미(Polysemien)'를 동시에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주목되는 바는 알레고리에서의 의미지시 방식이 표현의 직접성에서는 내용과 형식이 ’불일치‘를 이루며, 양자의 결합은 단지 ’관념적‘으로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고전적 예술의 핵심을 이루는 ’상징‘과 '미'를 거부하는 현대의 (해체주의적)예술상황에서 새로운 수사법에 대한 요구와 함께 알레고리에 본질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부정성(비규정성)과 애매성의 특성이 보다 첨예화되어 재활성화 된다. 
문자와 형상이미지, 문자와 사물간의 병존과 그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번역의 가능성은 예술 내적인 상황으로서 시각언어를 해체하고 확장시킬 뿐만 아니라, 예술 외적인 모든 상황으로도 확대된다. 즉 현대에 있어서 시각미술은 소통을 지향하기보다는 조형성의 극대화를 통한 해석의 다양성을 보다 더 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해체주의 경향과 설득적 수사어법의 하나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알레고리의 관계 규명 및 알레고리적인 표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조형적 기능이 어떻게 부각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Abstract 

Today, Modern method is moving that see in that read 
in new inclination which is seen in eye that is occurring in visual art while role of image enlarges to pass meaning, text decreases gradually or is that section. This tendency appeared by aspect of literal dithering and deactivation, overlap of image and deactivation, destruction of grid, discord and unbalance, distortion of form and short piece, juxtaposition etc.. . These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s how see what? 
Purpose of allegory at the same time, appeared ‘Polysemien’ through the opacity of meaning that expression indicates, that is observed here meaning direction method in allegory accomplish in directness of expression contents and form ‘inconsistency', and combination of both just can be made ideally. That makes of traditional art that ‘symbol' and  ‘beauty' refuse indefiniteness(non-regulation) and special quality of opacity are become acute and revitalize more that is contained essentially in allegory with request about investigation art that is new in modern (Deconstructionism) art circumstance. It is text and image, possibility of translation that can happen between coexistence and he between text and things are expanded by art all external circumstances as well as is disconstructed visual language as art inner circumstance and branches. 
That is, visual art is circumstance that is seeking variety of analysis through maximization of plastic more rather than intend traffic in today. 
I wish to examine closely communication function of expression and the deconstructual tendency and relation searching examination of allegory that is appearing newly by one of investigation the pursual and allegorical expression that appear in modern typography how function is embossed. 

(keyword) 
Deconstructionism, Allegory, Text,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