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디지털리터러시 환경에서의 사진미디어 고찰-유기상,이원섭,김종근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08-08-23
첨부파일 2021_유기상,이원섭,김종근(237-248).pdf
내용
디지털리터러시 환경에서의 사진미디어 고찰 
-장애인 문화지평을 위한 사진리터러시 중심으로- 

The consideration of photo media in digital literacy-environment 
-the focus of photo literacy with the aim of the cultural prospects for the disabled- 

주저자 : 유기상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전임강사 
Ryu ki-sang 
Mokwon university 

공동저자 : 김종근 
숭실대학교 대학원 
Kim Chong-ke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공동저자 : 이원섭 
숭실대학교 대학원 
Lee Won-sub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 
1. 장애인 문화지평을 위한 사진리터러시의 의의 
2. 장애인 사진리터러시 고찰 
2-1. 장애인 사진리터러시의 개념 
2-2. 장애인 사진리터러시의 문화 기능 
3. 장애인 사진리터러시 방법론 
3-1.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위한 사진리터러시 
3-2. 영상언어의 해석과 선택을 위한 
   사진리터러시 프로그램 
3-3. 장애인 사진리터러시 프로그램 
4. 사진 미디어리터러시의 제언 
참고문헌 

논문요약 
오늘날 미디어를 이루고 있는 디지털 환경은 우리들에게 일상생활뿐 아니라 사회, 문화, 예술 방면에 이르기까지 생산자적 소비자의 소통구조를 만들어 냈다. 이러한 흐름은 웹 미디어를 영상세대인 웹 2.0 세대의 삶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교육’ 매체로 변모토록 하였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이용하는 웹 기반의 디지털 소통구조는 장애인의 예술 문화와 사회 참여의 소통 격차를 줄이는데 일정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환경은 소외계층의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예술문화를 활성화하였으며 사용자의 미디어 생산자, 수용자, 유통자 간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현재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의해 생산⋅소비하는 정보와 노출되는 이미지를 다루기 위하여 장애인은 어떤 종류의 지식, 창의력, 리터러시 능력, 그리고 인성을 갖추어야 하는가? 정보 전달 중심의 미디어 소통 구조 속에서 장애인의 사회적인 요구는 열악한 사회 인프라에 의해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아직 장애인의 실천적 참여 활동은 적지만, 장애인의 커뮤니케이션 함양은 다수의 소통방식인 시각 언어에 대한 리터러시 능력 교육을 통해 추구해야한다.   
이제 중요한 것은 장애인의 소통 활동에 대한 인식과 책임을 일깨우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기반의 소통에 대한 보다 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공유를 위해 정보의 균형 있는 판단과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애인에게 미디어에 관해 지속적으로 언급하여야 하며 장애인 문화지평을 위한 논의의 중심에 사진 리터러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주제어 
디지털미디어, 사진, 미디어리터러시 

Abstract 
Digital environment forming today’s media has produce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producer‐like consumers not only in our daily life but also in society, culture and arts. This trend has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Web media into the medium of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life of the Web 2.0 generation, who is the multimedia generation. In particular, web‐based digital communication structure using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has played certain roles in narrowing communication gaps in the disabled’s arts, culture and social participation. 
Such environment has invigorate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underprivileged class and brisk artistic culture , and restructured the new relations among producers, consumers and distributors. 
What kinds of knowledge, creativity, literal abilities and personality are required to the disabled in order to deal with information and images produced and consumed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at present? In the media communication structure centering on informative communication, social demands of the disable haven't been conveyed by poor environment. Thought pract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ve not been enough yet, the disabled's communication-building should be pursued the literacy ability through education, which is a way of the visual language   
Now, what is the important thing is awakening consciousness and responsibility for the disabled's communication activities. Based on it, we need to judge and select information in a balanced way for more conscious and rational sharing of media‐based communi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fer the disabled to media continuously and to raise the necessity of photo literacy in the discussion for the prospects of culture. 

Keyword 
Digital Media, Photography, Media lite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