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수화교육 콘텐츠를 위한 캐릭터 개발에 관한 연구-손계중, 강성윤 (173-18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08-12-03
첨부파일 2123.pdf
내용
수화교육 콘텐츠를 위한 캐릭터 개발에 관한 연구 
-청각장애아와 농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for Sig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 Centering o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Deafness- 

주저자 : 손계중 
조선이공대학 시각영상콘텐츠학과 부교수   

Son Kae-Jung   
Chosun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공동저자 : 강성윤 
조선이공대학 시각영상콘텐츠학과 강사 

kang seong-yoon 
Chosun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 이 논문은 2004년도 조선이공대학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Contents 

논문요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및 방향 

2. 수화에 관한 소고 
  2-1. 수화의 일반적 개념 
  2-2. 수화의 성립과 발달 
  2-3. 수화의 유형과 기호구성요소 
  2-4. 수화의 예시 

3. 조기 수화교육과 캐릭터의 상관성 
  3-1. 조기 수화교육의 필요성 
  3-2. 조기 수화교육과 캐릭터의 특성 
  3-3. 조기 수화교육의 캐릭터의 활용 
  
4. 캐릭터의 이론적 배경과 제작과정 
  4-1. 캐릭터의 정의 및 기능   
  4-2. 시각적 특성 
  4-3. 제작과정 
  4-4. 조형적 구조의 특성 

5. 캐릭터를 활용한 수화교육 콘텐츠 
  5-1. 모션캡처시스템의 정의 
  5-2. 콘텐츠제작에서의 모션캡처 시스템의 활용 
  5-3. 모션캡처 시스템의 필요성 
  5-4. 수화교육 콘텐츠에 캐릭터 적용 
  5-5. 교육적 접근성 및 활용방안 

6.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수화교육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는 기본권에 해당되는 것이다.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듯 그들도 함께 살아가야 할 사회구성의 일원으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인 것이지만 그 중요도에 비해 아직은 사회적 인식이 부족한 편이다. 
수화는 언어의 한 형태다. 그것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며 정보를 얻게 되는데 이러한 수화의 역사는 인류의 출현과 함께한다. 
한국의 수화는 1909년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선교사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1913년 제도화된 학교교육으로 일본식 수화를 도입했다. 1947년 한국 지문자가 창안되었고 1963년 최초의 수화 책이 발간되었다. 1982년에는 표준화된 사전이 창간되었고 1995년에 한국 청각장애인복지회를 중심으로 수화교본이 발간되었다. 
이제는 21세기 세계화, 정보화시대에 맞는 새로운 수화교육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 볼 때이다. 
이에 캐릭터는 복합문화 첨단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콘텐츠 개발에 있어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모티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일반적 캐릭터와는 달리 여러 가지 기준이 제시되어야 하는데 특수목적에 따른 시각적 특성, 조형적 구조, 콘텐츠의 운용체계나 전달매체 선정 그리고 교육적 접근성과 보급효과에 대해서도 신중을 기하여 접근해야 한다. 
인간 교육은 인간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우리가 책을 보고 매스미디어나 인터넷, 영상물 등을 통해 수많은 정보를 얻듯 수화교육 콘텐츠 개발은 보조적인 역할로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 

주제어: 수화교육, 콘텐츠, 캐릭터 

Abstract 
To have sig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basic human rights to be owned since birth. It is a natural right for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deafness to have as members of social community, but its perception is not enough in comparison with its importance. 
Sign language is a type of languages. Through it, users can communicate and obtain information. Its history began with appearance of human beings. 
Sign language in Korea began by Rosetta Sherwood Hall in 1909 and in 1913 Japanese sign language was introduced for institutionalized school education. In 1947, Korean finger spelling was created and in 1963, the first sign language textbooks were published. 
In 1982, standard dictionaries of sign language were published and in 1995, sign language textbooks were published by Korea Social Welfare Council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Now, in the era of globalism and information-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we have to consider the necessity to develop new sign language contents. 
So, as characters has been perceived as multi-cultural industry, they can be positive and creative motives in development of contents. However, unlike general characters, a few standards should be presented for them. Much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visual features, modelling structure, operational system of contents, selection of delivering media. educational availability and distribution effect. 
It is undoubtful that human education should be done by humans. However, just as we obtain much information from books, mass-media, the Internet networks, and films and videos, contents development for sign language is to and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educational efficiency as an ancillary role. 

keyword: sig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