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백제이식의 조형성연구-이혜영 (211-221)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08-12-03 |
첨부파일 | 2127.pdf | ||
내용 | 백제이식의 조형성연구 - 삼국시대 이식의 조형 특성비교를 통하여 -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teristics of Earrings of Baekje - Through analy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kingdoms’ earrings. - 이혜영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Lee hye-young Choun university ============================================= 논문요약 Abstract 1. 서 론 2. 백제이식의 형식 2-1. 구성형식에 따른 분류 2-2. 중간식 형태에 따른 분류 2-3. 수하식 형태에 따른 분류 3. 백제이식의 조형성 3-1. 백제이식의 조형적 특성 3-2. 백제이식의 제작기법 3-3. 삼국시대이식의 조형 특성비교 4.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공예적 관점에서 보는 백제이식의 조형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백제이식의 구성형식과 연결부분에 따른 분류는 조형특성 파악을 위한 기본으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구성형식을 4가지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구성형식 중 중간식의 형태는 공구체(空球體), 공원판상형(空圓板狀形), 원통형, 소환연접구체(小環連接球體), 소환연접반구체(小環連接半球體), 사슬형 등이 있으며 수하식의 형태는 원형, 심엽형, 탄환형, 사익형(四翼形), 금모를 씌운 곡옥형 등이 있는데 수하식 역시 조금씩 변형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백제이식의 조형특성에 있어서는 시대별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한성기, 웅진기, 사비기의 이식을 분류하여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백제이식의 조형성 연구에 있어 삼국시대 이식의 특성비교는 백제이식이 지닌 미적가치를 평가해보고자 하는 것으로 고구려, 신라, 가야의 이식과의 비교연구 결과 일부는 서로 비슷한 형식과 형태를 보이기도 하고 또는 각국마다 문화적 조형감각이 반영된 형태로 모방 보다는 변용을 함으로써 특징적인 형태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 백제이식은 백제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신라나 가야의 이식처럼 시각적으로 화려하거나 기술력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간결한 조형감각은 현대가 요구하는 미니멀리즘적 디자인과의 접목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이러한 연구는 한 시대의 문화가 양과 질로 평가되는 위험성에 대한 우려에서 시작되었으며, 현란한 제작기법과 화려한 표현만이 금속공예품으로서 가치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시대의 감성과 문화가 호흡하는 미적 관점의 차이에 있음을 인식하고자 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연구함으로써 미적가치가 평가절하 되는 오류를 범하지 않았으면 하는 기대를 해 본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ve aspects of the earrings of Baekje Dynasty from the view point of artistic handicraft. The forms of composing Baekje earrings and the connecting parts as the basis for grasp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forms to be examined. The form of the pendants in the middle among the composing forms, there are Gonguchae, Gonwonpansanghyeong, cylinder form, Sohwanyeonjeopguchae , Sohwanyeonjeopbanguchae and Saseulhyeong. In the forms of Suhashik, there are Wonhyeong, Shimyeophyeong, Tanhwanhyeong, Sabihyeong and Gokokhyeong. Suhashik forms also showed slightly modified from each other. A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aekje earrings show som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eras,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eras: Hanseong Dynasty, Woongjin Dynasty and Sabi Dynasty. In the study on the artistry of Baekje earrings, the characteristics of earrings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aesthetics of Baekje earring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earrings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Goguryeo, Baekje and Silla) and Gaya, some were found to be similar in form and style with the earrings reflecting each state’s culture and sensibilities and thus making them unique. Baekje earrings also reflect the unique Baekje culture, and are not visually gorgeous or do not encompass an excellent manufacturing technology unlike earrings of Silla and Gaya; however, their simple aesthetics is expected to blend well with the modern minimalist desig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oint out the danger that cultures of an era a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quantity and quality. Also,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visual aspects alone cannot be the yard to evaluate the value of metal artifacts, but such a value lies in the difference in the aesthetic viewpoint on sensibilities and culture of that era. A study from diverse aspects is expected to prevent the mistake of underrating the aesthetic value of those traditional artifacts. Keywords Earrings of Baekje Dynasty, Formative characteristics, forming, surface decoratio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