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한.중 전통주택 연구를 통한 현대적 주거공간 개발-윤지영, 매문병, 김수화, 이곤, (129-14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09-02-24
첨부파일 2215_한중전통주택.pdf
내용
한·중 전통주택 연구를 통한 현대적 주거공간 개발 
-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명·청시대 ‘사합원’을 중심으로 - 

Modern Residential Design Based on th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Focused on Korean 'Han-ok' of upper-class and Chinese 'Sahap-won'- 


주저자 : 윤지영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전공 
Yoon, Ji-Young 
Dongseo university 

공동저자 : 매문병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Mei, Wen-Bing 
Dongseo university 

공동저자 : 김수화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Kim, Sue-Hwa 
Dongseo university 

공동저자 : 이 곤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Lee, Gon 
Dongseo university 
==============================================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1-3. 연구의 내용 
2. 한·중 전통주택의 배경 
2-1. 자연지리적 환경 
2-2. 사회문화적 환경 
3. 한·중 전통주택의 실내공간 특성 
3-1. 한국 전통 상류주택의 실내공간 특성 
3-2. 중국 전통 ‘사합원‘의 실내공간 특성 
3-3. 한·중 전통주택의 실내공간 비교 
4. 전통주택 디자인의 현대적 적용 및 디자인개발 
4-1. 한국형 주거공간 디자인 
4-2. 중국형 주거공간 디자인 
5.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이 연구는 한·중 간의 전통적 주거 형태를 분석하여, 이를 현대적 주거 공간인 아파트형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운영 법칙을 제시함으로써, 전통문화와 현대적 수요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 
한국의 경우, 조서시대 상류주택의 디자인 특성을 토대로 개방성/폐쇄성, 관입성, 연속성, 가변성, 생태성의 요소들을, 중국은 동시대 전통주택인 사합원의 특성을 토대로 대칭성, 영역성, 방사성, 연속성, 장식성, 생태성의 요소들을 추출하여 현대적 아파트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두 나라의 전통적 주택의 원리를 일반화하여 이를 현대적 주거 공간인 아파트형 주택에 응용하는 것은, 전통적인 주거 문화의 계승과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개발의 개념으로서 그 의미가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전통적 주거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주제어 
전통, 문화, 한국상류주택, 북경사합원, 현대적 적용, 개방성, 폐쇄성, 연속성, 가변성, 생태성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plane and space research of Peking Quadrangle which was the typical type of China’s traditional residence and Han-ok, the upper class dwelling of Seoul, grasping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traditional residence,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inter-community, diversity and mutual relationships of the two countries. By extracting the operat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the traditional residence, and by suggesting the design principles which can be applied in contemporary apartment houses, this study shows the direction for both modernization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housings. 
Korean apartment is designed based on openness & closeness, spatial continuity, flexibility and ecological application, while Chinese apartment on symmetry of plan, hierarchy, ornament, flexibility and ecological concept different from Korean application. This not only will be a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but also supply a desirable example for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ivilization of other regions. 

Keyword 
tradition, culture, Korean Han-ok for upper class, Beijing 'Sahap-won', modern application, openness, closeness, flexibility,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