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간판 시각요소의 시각환경과 정보전달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김현정, 백진경, 이경미(309-32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09-02-25
첨부파일 2235_간판시각요소.pdf
내용
간판 시각요소의 시각환경과 정보전달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 

A Satisfaction Survey on effect visual environment and information delivery of Visual Element of Signboard 

주저자 : 김현정 
인제대학교 대학원 U디자인학과 
Kim Hyun-jung 
Graduate school of Design, Inje university 

공동저자 : 백진경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디자인연구소 
Paik Jin-kyung 
College of Design, DID Institute, Inje university 

공동저자 : 이경미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Lee Kyung-mi 
DID Institute, Inje university 

* 이 논문은 2006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일부임 (KRF-2006-055-J01402) 

==================================================================================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가설설정 
1.3. 조사대상 
1.4. 조사기간 및 방법 
2. 평가항목선정 
2.1. 간판의 시각요소 평가항목의 선정 
2.2. 가로공간의 시각환경에 대한 만족도 
평가항목의 선정 
2.3. 정보전달 만족도 평가항목의 선정 
3. 간판 시각요소의 만족도에 대한 의식조사 
3.1. 인구 통계적 특성 분석 
3.2. 가로이용행태의 분석 
3.3. 대상지역의 간판에 대한 만족도 분석 
3.4. 정보획득 경로 및 간판의 정보전달 
역할 분석 
3.5. 가로공간의 시각환경에 대한 만족도 결과 
3.6. 간판의 시각요소에 대한 만족도 결과 
3.7. 간판의 정보전달 효과에 대한 만족도 결과 
4. 요인간의 관계분석 결과 
4.1. 간판의 시각요소와 가로공간의 시각환경에 대한 심리요인간의 관계 
4.2. 간판의 시각요소와 정보전달의 만족도에 대한 심리요인간의 관계 

5.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자극적인 색채사용과 과도한 크기의 간판들이 상업지역의 건축물에 점거하여 도시환경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시각 환경의 장애요인이 되었다. 간판의 시각적 공해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정부기관과 지역자치단체는 쾌적한 도시미관조성을 위해 ‘간판시범가로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간판시범가로조성사업의 정보전달의 효과와 도시미관의 효과에 대한 실질적인 검증과 정보전달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판의 시각요소가 가로공간의 시각 환경과 정보전달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연구 결과, 간판의 시각요소 중 정성적인 요인으로 간판 크기의 유사성, 간판 형태의 단순정도, 간판의 정연성, 건축물외벽색과 조화의 요소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량적인 요인으로 건축물에 부착되는 간판의 종류, 간판의 수, 간판에 사용되는 색상의 수가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판의 정보전달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으로 간판배치의 정연성, 건축물의 외벽색과 간판색의 조화, 간판의 단순정도로 조사되었다. 정량적 요인으로 간판색채의 자극정도, 간판의 종류가 부정적 요소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판디자인 시 간판의 시각요소 중 정성적 요인이 정량적 요인보다 더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옥외간판, 시각요소, 정보전달, 시각환경 


Abstract 
provocative colors and enormous size are used signboards are all over cities so make city environment unbearable. Moreover, they give people unpleasant feeling. Finally signboards are considered as bar to visual environment. But still the effects of Signboard of Repair Business,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composition of aesthetic urban landscape need to be verified. So street utilization, the efficiency of visual effect and information delivery, and the satisfaction of aesthetic urban land space are examined to understand  how visual elements in signboard can effect visual environment and information delivery in street space. 
The result of studies is that the similarity of size, the degree of simplicity, orderly of signboards, and the harmony with the color of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ich the signboards are attached in are related. When it comes to quantitative factor, kind and number of signboard and the number of colors used in signboards are negatively related. 
In qualitative factors, orderly of arrangement of signboards, harmony of color of outer wall with signboards, and the simplicity of signboard effect the satisfaction of information delivery. In quantitative factors, the degree of stimulus and the kind of signboards are negatively related. In this result, qualitative factors are more considered than quantitative factors when signboards are designed. 

Keyword 
signboard, visual element, delivery of information, visu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