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난 가상현실의 커뮤니티와 아바타에 관한 고찰-이향재, 조성태 21-3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0-02-25
첨부파일 02-온라인.pdf
내용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난 가상현실의 커뮤니티와 
아바타에 관한 고찰 
A Study of community and avatar of virtual reality that appear in online game 

주저자 : 이 향 재 
백석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Lee, Hyang Jai 
Division of Design & Image, Baek-Seok University 

공동저자 : 조 성 태 
한양여자대학 인터넷정보학과 
Jo, Sung Tae 
Dept. of Internet Information, Hanyang Women's College 
------------------------------------------------------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온라인 커뮤니티의 정의 
2-2. 온라인 게임의 특성 
2-3. 아바타 특성의 개념 정의 
2-4. 청년기의 자아와 가치관 
3. 조사방법 및 분석 
3-1. 조사목적 
3-2.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3-3. 통계분석 및 신뢰도의 상관분석 
4. 연구분석 및 결과 
4-1. 아바타의 대인관계에 대한 태도 
4-2. 아바타의 자기 관계의식과 자기개념 
4-3. 분석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은 사이버 커뮤니티라는 또 다른 형식의 사회를 만들어 냈다. 이에 사회적 환경인 온라인상에서 청년기 아바타 사용자들에 대한 현실적 자아와 온라인상에서 자신을 표출하고 있는 수단인 아바타의 자아 정체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현실적 자아관련 특성으로 자기개념의 자기 인식, 자아상, 자아존중감과 그리고 가상적 자아관련 특성으로 아바타에 대한 자기의식과 대인관계 의식을 논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집단 간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가상의 아바타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10대, 20대의 아바타 사용자의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청년기의 자아정체감과 가상성에 대한 인식은 가상공간상의 아바타 캐릭터에 대하여 자기와 동일시하면서도 별도의 자아를 확립하는 이중자아로서 현실과 가상의 구분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 자아동일성과는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oday's Internet, a cyber community that has created another type of society. The online social environment for youth, realistic avatars users online self and the means of expressing yourself avatar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Studies range from realistic self-concept of self-related nature of the self-awareness, self-appearance of self-esteem and self-related attributes, and the avatar for the hypothetical self-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ll want to study. Research subjects by considering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using the virtual avatars of people who are 10, 20 units of the user's avatar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online surveys. Results include self-identity and the virtual nature of youth awareness about the character avatar on a virtual space, while a separate self-identification and to establish self as a double self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virtual reality and can not recognize the self-same performance could see the difference in appearing. 


Keyword : Avatar, Community, Visu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