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이론과 실제 환경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최은영, 김문덕 119-13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0-08-25
첨부파일 13.노인을 위한 주거환경이론과.pdf
내용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이론과 실제 환경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일본 도심형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을 대상으로- 

A Link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Design for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Jap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주저자: 최은영 
대림대학 인테리어디자인과 겸임교수 
Choi eun-young 
Dae-Lim University College 

공동저자: 김문덕 
건국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교수 
Kim moon-duck 
Kon-Kuk University 


* 이 논문은 2010년도 서울시 융합과학기반 실버산업 연구개발 사업을 위한 연구 일환의 논문임. 
-------------------------------------------------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노인과 주거환경 이론 
2-1. 노인의 특성 
2-2. 노인에 대한 주거환경디자인 행태이론 고찰 
2-3. 분석을 위한 문헌자료 선정 
3. 분석의 틀 개발 및 사례분석평가 
3-1. 사례분석 틀 개발과정 
3-2. 사례분석에 의한 분석적 검증 
3-3. 결과 및 평가 
4. 결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본 논문은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에 대한 이론과 실제 디자인에 적용된 사례들을 분석하여 그 연계성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분석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하여 노인환경에 대한 이론과 실제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연계를 위한 틀을 개발, 사례분석을 위한 틀로 정리하였다. 사례분석의 틀은 추상적, 이론적 측면에서 노인환경에 대한 행태적 이론들과 내포한 행태적 개념 그리고 구체적, 실제적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물리적 특성과 구체적인 물리적 특성이라는 4가지 요소로 구성하였다. 
분석 대상의 사례들은 개발한 사례분석의 틀로 분석하였다. 정리하면, 카프와 카프의 유사 보완모델과 로톤과 나혜모우의 환경압박이론은 공간구성, 통로, 조망에서 반영하였으며, 이는 노인의 환경정보 처리에 있어 심리적 압박을 조망을 통해 적절한 자극 및 정보를 제공하여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알트만과 채머스의 생태학이론은 통로에서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데 안전하고 의미있는 활동이 되도록 통로공간이 지원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고프만의 자아표현 이론은 벽과 가구 등에서 C.M. Deasy의 이론과 MEAP와 NEAP는 규모와 크기에서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규모와 크기를 소규모로 하여 주거와 같이 느끼도록 하여 생활환경이 단절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노인의 환경에 대한 이론과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실제적인 환경 간의 연계성이 파악되었으며  노인들의 특성과 다양한 요구들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환경을 디자인 하는데 있어서 근거 자료가 되도록 한다. 일본을 사례로 한 이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 속도라든지 노인문화 등이 서구에 비해 우리와유사성이 많기 때문에 참고하여 한국적 상황과 특성에 맞는 연구로 계속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주제어 
일본,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환경이론, 이론과 실제의 연계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late the theories and the applied design elemen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The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article research and formal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the tool to analyze the case studies was developed by creating standard criterion to link the theories and the actual paid elderly residential areas. This analytic criterion comprises of four element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the formal concept that includes the theories of elderly residence, and complex and detaile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detailed and realistic perspectives. 
The case studies were analyzed by the previously developed criterion. In summary, Carp’s similar complementary model and Lawton and Nahemow’s environmental pressure theory were adapted for analyzing the special organization, corridor, and scenic concept; in terms of elder’s comprehension of the environmental data, psychological pressure can be reduced by scenic views which will increase the adaptability to the environment. Altman’s and Chemers’ habitat theory is often seen in the corridor because safe and meaningful activities are supported by corridor spaces. Goffman’s self-expressive theory is present on the walls and furnitures, while C.M. Deasy’s theory, as well as MEAP and NEAP can be seen from the size and the scale; the size and the scale are reduced to imply residential atmosphere that can effectively avoid the departure from the usual environment. 
As discussed abo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vidential data for designing apt environmental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various needs for the elders. Korea is comparable to Japan than western countries as witnessed by a number of similarities such as the rapid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and the elderly cultur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consult the cases from Japan to create a standard elderly residential design tha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ociety style design. 

Keyword 
Jap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ories on environmental for the elderly, comparisons between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in actual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