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윤초롱, 문희강 411-420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0-11-25 |
첨부파일 | 38.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pdf | ||
내용 |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and at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주저자 : 윤초롱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구원 Chorong Youn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University 교신저자 : 문희강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조교수 Hee-Kang Mo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 본 논문은 서울시 산학연 협력사업(10956)에 의해 지원되었음. ----------------------------------------------------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한국적 디자인 교복 2.2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 2.3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이미지 평가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측정도구 3.2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4. 결과 및 논의 4.1 집단간 동질성 검증과 자극물의 조작화 검증 4.2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선호태도와의 관계 4.3 현대적 이미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적 이미지의 미적 평가 차원 5.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의 개념을 확인하고 제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으로 생활한복 교복만이 언급되었으나, 최근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새로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을 생활한복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적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의 교복으로 확장시키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통해 전통을 반영한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청소년의 선호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고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 평가차원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여중생과 여고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51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 2종을 자극물로 제시하여 이들에 대한 이미지 평가 및 선호태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물에 대해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여 두 자극물이 전통적으로 표현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현대적 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두 자극물 사이의 선호태도를 비교한 결과, 청소년들은 현대적으로 표현된 교복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제품에 대한 미적 이미지 평가 차원을 밝힌 결과, 품위/단아, 편안/실용, 고루/투박, 장식/화려의 네 차원이 도출되었다. 각 이미지 평가 차원이 현대적 표현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을 편안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나 단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인식할수록 현대적이라고 평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한국적 정체성, 교복, 이미지 평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 of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may reflect the ima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the images of Hanbok.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 from a modern viewpoint and reflecting i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design, a large portion of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c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dentify adolescents' preferred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is study examined if they prefer modernized Korean image to realistic one. And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dimensions on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at affect their al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were identified as wel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551 female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operatinal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odern expressivity and preferred the school uniform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image with modern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our dimensions, refined/ graceful, easy/practical, stuffy/rustic, and decorative /staring were drawn. It was found that the easy/practical dimensions factor and refined/ graceful factor affected adolescents' perception of modernity in Korean image uniform. Keywords: Korean identity, school uniform, image evaluatio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