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전시전문가 양성 활성화 방안 연구-장은경 235-244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0-11-25
첨부파일 21.전시전문가 양성.pdf
내용
전시전문가 양성 활성화 방안 연구 
-전시전문 자격증 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Plans to Vitalize Training of Exhibition Manager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e System of Exhibition Management- 


장 은 경 
서울산업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선임연구원 

Jang, Eun Kyung 

Senior Researcher , Design Lab. Science Culture Exhib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전시전문자격 제도의 필요성 
  2.1. 전문자격증 설문조사 
  2.2. 시사점 및 기대효과 
3. 유사 전문자격 사례분석 
  3.1. CEM(전시전문기획사) 자격제도 분석 
  3.2. 컨벤션기획사 분석 및 문제점     
4. 전시전문자격증 구축방안 
  4.1. 전문자격증 개설 위한 선결과제 
  4.2. 로드맵 및 추진(안) 

5. 결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최근 전시산업은 종합적인 전략서비스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국내 전시산업은 선진국에 비하여 여전히 경쟁력이 미흡한 상태이다. 향후 전시의 성공적인 개최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인력과 이를 제도적으로 인증해 줄 수 있는 자격증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자격증 제도 도입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전문가 양성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첫째, 전시전문 자격제도의 필요성은 산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설문 내용은 자격증의 필요성, 운영방식 및 주체에 관한 응답, 취득 후 업계의 활용방안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시사점 및 기대효과를 도출함으로써 전시전문 자격제도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둘째, 국내 상황에 맞는 전시전문자격증을 제안하기 위하여 유사 전문자격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외 CEM자격증 및 컨벤션기획사를 중심으로 문헌 및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외 자격증을 비교하여 현재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유사 자격증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시전문자격증 개설을 위한 선결과제와, 이를 반영한 로드맵 및 추진(안)을 단계별로 제시하여 실질적으로 전시전문 자격증 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향후 전시전문 자격제도 도입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사자격증 제도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외국의 자격 제도를 연구하여 전시전문 자격증 제도의 로드맵 수립 및 활성화를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전시산업, 전시전문인력, 전시전문 자격제도 

Abstract 
Recently, though exhibition industry is developing into total strategic service industry, exhibition industry in Korea still has insufficient competitiveness compared with than in developed countries. For successful hosting and operation of exhibition for the future, it is needed to develop human resources equipped with professionalism and to introduce certificate system which can certify them systema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vitalize training of professional exhibitionmanage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e system which is needed to train professionals as follows. 
First, questionnaires and telephone survey were conducted targeting practitioners in this industry in order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ertificate system for exhibition management.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the importance of certificate, answers on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body and application in the industry after acquiring the certificate. Also, the necessity of certificate system for exhibition management was described by deducing implications and expected effects reflecting the needs of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Second, in order to suggest certificate of exhibition management which is suitable to the country's situation, case study on similar professional certificates was conducted. By researching the literatures and conducting Internet research centering domestic and foreign CEM certificates and convention agencies and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ertificates, problems of similar certificates currently implemented in the country were analyzed. Third, based on such analytic results, fundaments for introducing certificate of professional exhibition management practically were set by suggesting the first consideration for opening certificate of professional exhibition management, and roadmap and promoting plans by each stage. In order to settle and vitalize introduction of certificate system for professional exhibition management for the future, both continuous research and effort should beput forth for establishment and vitalization of roadmap of certificate system for professional exhibition manage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imilar certificate systems and by studying foreign certificate systems. 

Keyword 
  exhibition industry,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exhibition management, pertificate system for      professional exhibi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