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향수광고를 통한 기호학적 상관관계 해석-김유미, 김태균 193-20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0-11-25
첨부파일 17.향수광고를 통한 기호학적.pdf
내용 향수광고를 통한 기호학적 상관관계 해석 
The Semiological Correlated Analysis through Perfume Advertisements 


주저자 : 김유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대학원 

Kim YuMi 
Dept. of Industrial desig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교신저자 : 김태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교수 

Kim TaeKyun 
Dept. of Industrial desig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이 논문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연구진흥비 프로그램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후각과 감성 
2-1. 후각 
2-2. 후각과 감성 기억 
3. 향수 
3-1. 향수와 문화 
3-2. 향수광고 
3-3. 향의 분류 
4. 향수 포스터광고의 해석 
4-1. 실험 개요 
4-2. 시향을 통한 이미지 추출 
4-3. 광고별 이미지 추출 
4-4. 해석소 매트릭스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오늘날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는 감성적 디자인이 늘어나고 있으나 후각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시각이미지를 통한 후각기호를 생성해야 하는 향수 상품 광고의 경우는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기호학적 체계가 복합적으로 필요한 향수 광고 디자인에서 기호학적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광고를 통한 기호 생산의 측면과 실제 소비자를 통한 향과 광고의 기호 소비를 분석하여 기호 해석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방법적 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디자인 개발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 결과, 향수 광고를 위한 감성 어휘의 도출과 함께 광고에서 느껴지는 후각 이미지와 실제 향을 통해 느껴지는 후각 이미지가 일치하는 광고와 그렇지 않은 사례를 밝힐 수 있었으며, 일치하는 광고는 기호 생산의 측면과 기호 소비의 측면이 충분히 상호교환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후각은 인간의 감성과 기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경험을 통해서만 습득되기 때문에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인간의 오감을 통한 디자인의 완성을 위해 후각 또한 기호학적 방법으로 연구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향수광고, 기호해석, 해석소 매트릭스 


Abstract 
Now that emotional designs to stimulate the five human senses are increased, but associated with the sense of smell is lack of research. Especially the study can grow in importance in perfume advertisement to create a sign of the smell by visual image. 
This research, based on a examination of the design to advertise a perfume to require a various of the sign systems has enabled u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in semiotics. Specifically, the aim of paper study the methodological system to find whether consumers take signs correctly through comparison the intend of advertisement in producing signs with the sense impression they receives. 
Some results show correspondences between the image of smell in ads and the perception of perfume in a bottle. 
The olfactory sense has been poorly researched because the sense is only developed by someone's emotions, memories and experiences. However, to complete the design through the five sense of human, the sense can be studied by semiological method. 

Keyword 
Perfume Ads., Semiotics, Interpretant Matr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