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찻주전자 (Teapot) 의 조형이념과 형식-김연화 115-124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0-11-25
첨부파일 10.찻주전자 (Teapot) 의.pdf
내용 찻주전자 (Teapot) 의 조형이념과 형식 
The Formative Idea and Form of a Teapot   


김 연 화 
홍익대학교 박사과정 

Kim Youn Hwa 
-------------------------------------------------- 
1. 서 론 
1-1. 연구목적 및 범위                       
1-2. 연구절차 및 방법 
2. 찻주전자의조형성 진단 
2-1. 조형 개념과 실체                       
2-2. 조형 형식 분석 
3. 형상적형태( Gestalt) 로서의 
  구조해명 
3-1.조형이념과 형식의 상호연계성           
3-2.형태환에의한 찻주전자의 형태적 특성 
4.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찻주전자가 지닌  조형성은 조형예술의 새로운 의미이고 형상이며 이것의 조형이념과 조형형식은 새로운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최선의 방법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찻주전자와 같은 실용적인 욕구와 심미적인 이념을 충족시키기 위한 현실적 형상으로서의 인공적인 조형물은 구성과 구조의 유기적이며 기능적인 관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것의 관계를 상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만듦의 세계를 창출하는 문제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조형구조와 조형의 개념과 표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찻주전자를 해석, 진단하는 것은 이것이 지니고 있는 조형성에 나타난 물질적 표현성과 구조로서의 형식과 시각요소로서의 상징을 대상으로 상호관계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형태를 이루는 것과 재료의 설정 및 기법 개발을 통한 선행적, 창조적 조형표현 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찻주전자의 조형 개념과 실체를 분석하고  형상적 형태로서의 구조해명을 통해 이것이 지니고 있는 유형과 문양의 실체적 조형 형식을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찻주전자가 지니고 있는 자연미, 의식성, 기하학적 조형미와 함께  정갈하고, 명확한 인위적 조형성의 실용 가치를 확인하였다. 그럼으로써 찻주전자에 나타난 조형의 이념과 형식의 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조형창조 과정에 새로운 형상과 가치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 하게 되었다. 

주제어 
조형이념, 조형형식, 새로운 형상 




Abstract 
The metaphysical formality of teapot is a new meaning in formative arts and its idea and forms of formality are the best way to improve life environment. 
Artificial sculpture like teapot which satisfies both practical use and aesthetic desire has impact on the functional and organic relations between construction and structure. 

In that sense, it is an important thing to reinterpret the making of the physical concept a metaphysical structure has through their correlational meaning and to create another possible world of the making. 

In interpreting and analyzing teapot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idea of formality and formal structure, we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changing correlations about symbols as materialistic expressivity shown on metaphysical formality and forms as a structure and emblem as visual element and as a result, we could recognize creative and preceding  expression activities of structure through selections of elements and techniques development and combinations of for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rmality concept and essence of teapot and the explanation of its structure as a formal structure, a comprehensive formality of types or patterns of tea pot was studied. 

Through thi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eapot shows the balance among its natural beauty, consciousness beauty and geometrical beauty of formality and also gives a value as practical use of simple and clear artificial formality accompanied by artless art. 

The result is that to understand a system of structure and the idea of formality expressed on teapot exists as new shapes and values in the course of creation of structure. 

Keyword : Formative idea , Style, 
         New shapes 

Hongi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