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공간의 체험적 표현 특성 연구-김미영, 문정민 413-42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1-08-24
첨부파일 41-브랜드.pdf
내용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공간의 체험적 표현 특성 연구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Expression 
for Brand Identity in Space 
- Focus on Flagship Stores- 


주저자 : 김미영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박사과정 
Kim Mi-Young 
Chosun University 

교신저자 : 문정민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부교수 (Ph.D) 
Moon Jeong-Min 
Chosun University 
------------------------------------------------------- 
논문요약 
오늘날 경제성장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정보화 사 
회가 되면서 다양화, 다변화를 중시하는 사회적 변화 
가 일고 있다. 이는 개인의 개성을 중시하는 문화적 
환경으로 변화되면서 브랜드 체험에 따른 감성의 유 
발과 구매욕구의 충족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브랜드 체험전략을 사용하며, 브랜드 체 
험수단의 하나로 브랜드 스토어를 활용하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스토어 중에서 브랜드 아 
이덴티티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매장인 플래그쉽스토 
어를 번 슈미트의 5가지 체험전략과 체험수단으로서 
공간체험요소의 특성으로 살펴보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간에서 브랜드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한 체험 
전략은 대부분 오감을 통한 감각체험이나, 감성체험, 
인지체험 등 고객의 개별적인 체험을 통해서 대부분 
나타났고, 사회, 문화적으로 공유된 체험인 행동체험 
과 관계체험의 특성은 보다 적게 나타났다. 
또한 체험 설계요소는 브랜드 컨셉을 중심으로 외 
부는 차별화된 건물 형태나 입면 디자인으로 나타났 
다. 내부는 테마화를 통한 조형적 장치나 디스플레이, 
컨셉 컬러의 사용, 재료를 특성화하는 방식이 주로 
나타났으며, 갤러리나 카페 같은 문화시설을 공간내 
부에 복합 구성한 특성도 나타났다. 
직접적 체험과 관련해서는 매장내에 전시된 제품 
을 직접 시연 할 수 있는 테스트존, 포토존, 이벤트존 
의 조성과 미디어 장치적 환경구축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브랜드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공간 표현특성이, 고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것과 
직접적인 체험기회의 제공을 통한 개별적인 체험 측 
면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체험 설 
계 요소의 복합적인 적용을 통해 브랜드를 고객의 라 
이프스타일과 연결시켜 사회문화적으로 공유된 브랜 
드아이덴티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필요하다 
고 판단된다. 

주제어 
브렌드아이덴티티, 체험, 플래그쉽스토어 

Abstract 
As our society has become information-oriented 
with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ies, social changes focusing on diversification 
has occurred. This led to changes of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personal individuality is 
considered valuable and we need strategies to 
promote sensitivity and to satisfy purchasing needs. 
For the purpose, enterprises use brand stores as a 
point connecting brand to customers and a means for 
brand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flagship stores representing brand identity according to 
five strategic modules, Schmidt's experiential 
strategies, examined how experiential strategies are 
represented through landmark, malling, concept line, 
core attraction and identified effective spatial 
representative means for brand identity,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Most of the experiential strategies to form brand 
identity in space were represented through individual 
experiences of customers such as experience of five 
senses, emotion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and there was less representation of 
behaviors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which are 
socially and culturally shared.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design factors represented in space 
according to each strategy are presented through 
differentiated external forms, projective design, and 
landmarks of signboards, and sensitive experiences 
are presented through diverse spatial compositions, 
specialized materials and illuminations. In respect to 
cognitive experiences, design variables are represented 
for direct experiences of customers through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multi-media simulation. Behavioral 
experiences are presented through thematic lifestyles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are presented through 
media simulation which connects users to social 
environment. 

Keyword 
Brand identity, Experience, Flagshi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