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책가도(冊架圖)에 나타난 도자의 심미의식-박경희 193-20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1-08-24
첨부파일 20-책가도.pdf
내용
책가도(冊架圖)에 나타난 도자의 심미의식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eramics which appears in Painting of bookshelves 


박 경 희 
강원대학교 디자인대학 문화상품디자인학과 교수 
Park kyung-he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논문요약 
책가도에는 선비들의 책과 문방사우를 중심으로 
도자기·화병·화분·찻잔 등이 책사이사이에 적절하게 
배치하여 조화를 이루고 있다. 책가도가 조선에서 본 
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된 시기는 18세기 후반 정조 
때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책가도를 크게 세가 
지 형식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첫 번째는 책과 애장 
품이 서가에 잘 정돈되어 진열되어 있는 서가식 책가 
도이다. 분석하고자 하는 작품으로는 호암미술관 소 
장의 8폭 병풍 책가도를 선택하였다. 두 번째는 장막 
이 드리워진 장막식 책가도로 장한종의 서가식 책가 
도에 장막이 있는 8폭 병풍 책가도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는 서가가 빠진 나열식 책가도로서 통도사성보박 
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8폭 병풍 책가도를 선정하였 
다. 
이러한 3가지의 형식으로 분류한 책가도에 등장하 
는 도자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고 종합한 결과 다양 
한 도자에는 사람들의 소망과 동양사상이 담겨 있다 
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자가 지니고 있는 심미의식 
은 5가지로 정리가 가능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문방용품 도자기에는 옛 것을 선호하는 고아미 
(2) 병에는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변화를 선호하는 
다양미와 화려미 (3) 접시와 화병에는 어느 것이나 
담아주는 포용미 (4) 잔·주전자·합에는 실용성을 주로 
하는 실용미와 여유미 (5) 이형도자와 기타 도자에는 
강한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상징미가 존재하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민화의 한 장르인 책가도에 등장하는 다양한 도자 
의 심미의식에 대한 연구는 조선시대 문인들이 애호 
하던 도자취향을 접근해 봄으로서 선조들의 문화코드 
를 이해하고, 나아가서는 온고지신의 정신으로 오늘 
날의 새로운 도자문화를 모색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책가도, 심미의식, 포용미 


Abstract 
In the center book and stationery of the scholars, the 
ceramic ware·the vase·the pot·the cup etc. appropriately 
arranged and accorded in between the books in painting 
of bookshelves. Painting of bookshelves in the Joseon 
was started to be produced earnestly at the time of 
Jeongjo in 18th century latter. 
This paper tries to divide the various style of the 
painting of bookshelves in three kind formats. First, it is 
the bookshelves-style painting of bookshelves which the 
book and the treasures are put in order well in the 
bookshelves. The selected painting is 8 width folding 
screens in Hoam art museum. Second, the curtain-style 
painting of bookshelves which the curtain comes to hang 
down, is analyzed. The selected painting is the painting 
of bookshelves of Jang hanjong. Third, as the array-style 
painting of bookshelves without the bookshelves, it is 
selected 8 width folding screens in Tongdo Buddhist 
temple museum. 
Analyzing the type and a feature of ceramics which 
appear in the painting of bookshelves which classified in 
the format of 3 kinds is like this and the result 
synthesized to the cermics which have various the desire 
and oriental ideology of the people are being put in to 
know the th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like 
this ceramics keeps the arrangement possible is with 5 
kind the result with afterwords is same. 
(1) The classic beauty which prefers the old thing in 
stationery ceramic (2) The various beauty and the 
gorgeous beauty which prefers the change of form and 
color in bottle (3) The magnanimous beauty which is put 
in the plate and the vase (4) The pragmatic beauty and 
the composed beauty which is mainly practical in the 
cup·the pot·the hap (5) The symbolic beauty which 
contains a strong symbolic characteristic in the different 
ceramics and the rest of ceramics exists as we know that. 
About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ceramics which 
are various appears in the painting of bookshelves which 
is one style of folk painting research the ceramics idea 
which the Joseon Dynasty period literary person love to 
approach understands the cultural cord of the ancestors, 
there is a meaning which a further today tries to grope 
new ceramics culture with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Keyword 
painting of bookshelve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he magnanimous beau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