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공간구성 특성-김미실, 문정민 183-19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1-08-24
첨부파일 19-초등.pdf
내용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공간구성 특성 
- 제7차 교육과정과 광주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pace in Elementary Curriculum 
- Centering on the 7th Curriculum and in the Case of Gwang-Ju - 


주저자 : 김미실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박사과정 
Kim Mi-Shil 
Chosun University 

교신저자 : 문정민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부교수 (Ph.D) 
Moon Jeong-Min 
Chosun University 
---------------------------------------------------------- 
논문요약 
정보화 시대의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는 문화, 경 
제, 교육 등 모든 분야의 다양한 방면에 급격한 변화 
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사조는 교육 분야 
에서도 중요한 변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사회구조 
의 변화, 교육적 인식의 변화, 공간의 변화 등을 요구 
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육은 의무교육으로써 가장 기본적인 
교육 장소이며 후속되는 다음 학년의 교육적 바탕으 
로 학생의 성장에 풍부하고 바람직하며 창의적인 태 
도를 기르게 하는 교육이다. 초등학교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제도와 교육방법은 인격을 존중하 
며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습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적 변화와 다양해진 교육과정의 수용으로 
학습공간의 구성 특성을 알아보고, 초등학교 학습 공 
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환경의 조 
성으로써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습 공 
간구성 특성을 요약하였다. 
핵심적으로 다뤄지는 학습공간과 다목적 공간과의 
구성 형태에 대한 특성은 교실에 대한 열린형 공간구 
성, 독립형 공간구성, 통합형 공간구성의 특성을 보였다. 

주제어 
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학습공간구성 


Abstract 
In this information-oriented era, changes in social 
paradigms have brought rapid changes in various 
areas including culture, economy and education. Such 
trend has been accepted as an important opportunity 
in education and needs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educational recogni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Elementary schools provide the most fundamental 
and basic education as a compulsory education and 
nurture desirable and creative attitudes of students 
as a base for succeeding educa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ethods to achieve elementary 
educational purposes focus on respecting personality 
and helping students to enthusiastically exert their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according to 
acceptance of social changes and diversified 
curriculum focusing on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s. For the purpos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can effectively correspond with changed 
learning space was developed and learning space for 
elementary schools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was analysed. As a result of analysing 
composition of learning and multi-purposed space 
which is a focus of the 7th Curriculum revised in 
2009 and open space, planning directions to 
constitute open space, independent space and 
integrated space were obtained. 

Keyword 
primary schools, on the 7th curriculum, 
learning space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