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과제에 대한 예상된 평가와 과제 -문희강 외 3명 429-44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2-02-28
첨부파일 39-패션디자인교육.pdf
내용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과제에 대한 예상된 평가와 
과제 난이도가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개인의 창의적 동기성향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valuation expectation and task challenge on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classrooms 
- Focused on the interaction among individuals' motivational orientation - 


주저자 : 문희강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조교수 
Moon hee-ka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공동저자 : 이윤정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부교수 
Lee yoon-j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공동저자 : 이민선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부교수 
Lee min-s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angmyung University 

교신저자 : 이예영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부교수 
Lee yhe-yo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 

논문요약 
본 연구는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예상된 평가와 과제 난이도가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에서의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패션산업에서 창의적 인력에 대한 수요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대학의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방법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서울에 소재한 한 대학의 의류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독립된 2차의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1은 예상된 평가와 개인의 동기성향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의류학과 2학년 37명을 대상으로, 실험 2는 과제 난이도와 개인의 동기성향이 과업 수행과정의 플로우 경험과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의류학과 3학년 3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패션 디자인 수업에서 발생하는 외적 동기화 상황으로서의 예상된 평가는 개인의 외적 동기성향에 따라 창의적 성과에 상이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션디자인 수업에서 제시되는 과제의 난이도는 개인의 내적 동기성향에 따라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패션 디자인 교육에서 명확한 과업 수행의 목표와 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예상된 평가가 외적 통제가 아닌 외적 동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교육 대상자의 특성에 적절한 난이도의 과제를 단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창의성, 동기성향, 예상된 평가, 과제 난이도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fundamental reference for an effective education to nourish creativity in the education of fashion design in universities, by examining how the expectation of evaluation and the task challenges in fashion design education affect the creativity. As the demand for creative manpower in fashion industry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have concrete educational methodology and debates on various elements that could influence the creativity. 
Therefore, two separate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of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first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irty-seven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of evaluation and personal motivational orientation on creative achievement. And the second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irty-eight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ask challenge and personal motivational orientation on creative achievement.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expectation of evaluation as an external influencing factor arisen from the classes of fashion design could have a different impact on creative achievement according to a person’s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the task challenges given by the classes of fashion design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flow experience according to a person’s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a concrete evaluation standard is needed so that the expectation of evaluation could have the effect, not as an external constraint, but as an external motivator, by providing the students a clear purpose of task and necessary information to achieve it. In addi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provide a proper level of task challenge sui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for creativity in order to achieve a more effective education. 

Keywords 
creativity, motivational orientation, expectation of evaluation, task challe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