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모델 연구 및 전략 개발-김지인,강혜승 277-289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2-05-25
첨부파일 42-디자인관점.pdf
내용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모델 연구 및 전략 개발 
- 화장품 브랜드숍을 중심으로 

Research and Strategy Development of Servicescape Model for the Construction of Store Identity 
-Focused on Cosmetic Brandshops 



주저자 : 김지인 
단국대학교 인터하이브리드디자인전공 박사과정 

Kim, Ji-In 
Dept. Inter-hybrid design, Dankook university 

공동저자 : 강혜승 
단국대학교 예술조형대학 패션산업디자인과 교수 

Kang, Hae-Seung 
Dept. Fashion industry design, Dankook university 

-------------------------------------------------------------------- 

논문요약 
본 연구는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소에 대한 국내·외 연구에 대한 고찰 및 변화된 디자인 개념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의 통합적인 디자인 개념에 적합한 서비스스케이프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했다. 해외문헌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들이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소에서 제품과 관련해서는 주로 종류나 질의 관점에서만 다루어지고 있으며, 서비스 환경 속에서의 제품의 디자인적인 요소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의 연구에서는 스토어 외부환경의 디자인 요소를 거의 다루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베이커커의 연구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소를 주변요소, 디자인 요소, 사회적 요소로 나누고, 디자인 요소에 제품 디자인을 추가해 베이커의 모델과 차별점을 두었다. 이어서 베이커의 분류에 따라 이를 각각 다시 기능적 요소와 미적 요소로 분류했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서비스스케이프 모델을 적용해 화장품 브랜드숍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환경 전략을 세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각적 요소 뿐 아니라, 후각, 청각적 요소까지 화장품 브랜드숍의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요소를 기업이 전략적으로 사용한다면 스토어 아이덴테티 차별화에 유용할 것이다. 


주제어 
서비스스케이프, 스토어 아이덴티티, 화장품 브랜드숍 



Abstract 
This study first researched bibliographies on the element of servicescape and then studied on the changing concept of design, finally suggested the new model of servicescape, suitable for the integrated concept of design in modern society. Bibliographical research on overseas studies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s been focused on a variety and quality of products and has been neglected of the design element of products in service environment. Also bibliographical research on domestic studies showed design element of stores' exterior environment has been rarely investigated. 
The model of servicescape,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Baker's structure. In this model, the dimensions of servicescape were divided into ambient factors, design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y are, again, divided into exterior environment and interior environment. However, unlike Baker's, the model of servicescape in this study has one more subdivision in design factor, that is, product design.  Each subdivision, again, has broken into functional element and aesthetic element.                 
Futhermore, applying the servicescape model drawm from this research, strategies of service environment for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cosmetic brandshops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olfactory and auditory elements, as well as visual elements, can b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cosmetic brand shops. If a company uses all these elements strategically, it would be helpful to differentiate the store's identity from others. 

Keyword 
servicescape, store identity, cosmetic brand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