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한성백제시대의 유물을 활용한 문화상품용 써피스 패턴 디자인 연구-한왕모, 김선미(31-4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2-11-24
첨부파일 3-백제유물.pdf
내용
한성백제시대의 유물을 활용한 
문화상품용 써피스 패턴 디자인 연구 
A Research on Surface Pattern Design for Culture Product 
inspired by the Relics of Seoul Baekje Period 

주저자 : 한왕모 
건국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텍스타일디자인전공 박사과정 
Wangmo Han 
PhD Candidate,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extile Design Specialty 

교신저자 : 김선미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텍스타일디자인과 교수 
Sunmee Kim 
Professor, Konkuk University, Collage of Art & Design, Textile Design Departmen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한성백제는 백제의 건국부터 약 500년간 현재 서울 송파구 일대를 도읍으로 정했던 시기로 1997년 한성백제의 왕궁이 풍납토성에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서울 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역사적으로 의의가 있는 시대이다. 그러나 고구려, 신라, 백제 등 다른 시기의 유적과 유물들이 일반 대중에게 소개되고 더 나아가 문화상품으로 개발되고 있는 것에 비하면 한성백제에 대한 관심과 조명은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오늘날, 세계는 미디어와 기술의 발달로 국경의 공간적인 의미가 사라지고 국가 간 문화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각국의 독특한 전통과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지만 공간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그 문화와 기억을 떠올릴 수 있는 문화상품, 이를테면 박물관이나 유적지의 기념품, 아트상품과 같은 것들의 개발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낮은 품질, 국적 불명의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의적인 상황에 유형의 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우리 전통과 역사, 문화를 아이덴티티로 담고 있는 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한성백제의 유물을 모티브로하여 문화상품용 써피스 패턴 디자인을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한성백제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시행하였으며, 한성백제의 유물을 이용하여 총 5개의  패턴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한성백제의 유물과 써피스 패턴 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도가 높고, 문화상품으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웅진기(熊津期)와 사비기(泗泌期)의 백제 문화와 결합한다면 더 좋은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서울, 공주, 부여 세 지역을 하나의 백제로 연결해주는 역할까지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한성백제, 문화상품, 텍스타일 디자인 

Abstract 
Seoul Baekje is the period when Baekje set their capital at Songpagu, which is Seoul in the present days. As it comes out into the open that the  palace of Seoul Baekje was located at Poong-Nap Mud Castle, it became a very meaningful period since it opened a new prospect in the history of Seoul. However, there is a lack of attention on Seoul Baekje as compared with the culture products which have been developed using relics of Koguryeo, Silla and other periods of Baekje.. 
Nowadays, spatial significance of national border was faded by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echnology. And it brought an active growth in cultural exchanging among nations. Therefore every country is creating added value by developing culture products using their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 
Korea, on the other hand, cognizes the importance of tangible cultural products, but we are not making it worthwhile as to recollecting memories of our cultur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such as tourism souvenirs, goods sold at museums. And as the economic value is too much, selling low quality and goods from nowhere exist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study will develop the textile surface pattern design for the culture products having an identity of Korean tradition, history and culture which are inspired by Seoul Baekje. 
As a result of development of 5 designs with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etical studies using separate volumes relevant with the study, the images of Seoul Baekje are appropriate to make the tangible cultural products. Furthermore, if it combined with images of Baekje when it was located in Gongju and Buyeo, it would be more of a useful design material and could perform a role as a good way to connect these periods.     

Keyword 
Seoul Baekje, Culture product, Textil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