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대구시 문화상품 상징 이미지 개발에 대한 연구-전영옥, 정시내, 나 건(99-11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3-11-26
첨부파일 12-대구시문화상품.pdf
내용
대구시 문화상품 상징 이미지 개발에 대한 연구 
- 도시 문화상품이 도시 이미지 강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Symbolic Image for Cultural Products of Daegu 
- Analyzing of how local cultural products can strengthen the city image – 



주저자 : 전영옥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과정 
Jeon young-ok 
Ph.D Course,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Hongik University   

공동저자 : 정시내 
UDI 어소시에이츠 팀장 
Jung si-nae 
Team Leader, UDI Associates, Inc. 

교신저자 : 나  건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교수 
Nah ken 
Professor,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Hongik Univers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도시가 보유한 유·무형의 자원들은 도시 거주민들에게 자부심을 부여하는 문화적 산물임과 동시에 그 도시만의 고유한 매력으로 도시를 찾는 방문객들의 호기심과 문화적 욕구를 자극하여 그들의 재방문을 유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의 역사적·문화적 자산을 적극적으로 상품화 한 도시 문화상품은 한 도시를 대표하는 고도의 상징이자 지역 연계산업의 활성화와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매개체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대구의 이미지는 분지가 갖는 지형적·기후적 특징과 섬유산업, 과거의 정치·사회적인 이슈 등이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시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타 도시 및 지역 문화상품의 성공 사례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대구 문화의 총체로 대표될 수 있는 문화상품의 상징 이미지를 검토하는데 참고하였다. 둘째, 대구시가 간직하고 있는 다양한 범위의 가치 분석을 통해 도시의 유·무형 자산으로서 문화상품에 투영 가능한 상징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구 문화상품의 핵심 이미지로 대구 중구 근대골목과 대구사과를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문화상징을 개발하는 것에 앞서 기존에 형성된 대구시만의 잠재적 이미지를 발굴하고 재해석하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대구 상징 이미지의 지속적인 상품화와 마케팅 활동이 수반될 때, 대구 문화상품에 투영된 대구 상징은 방문객들에게 지속적인 생명력을 지닌 차별화된 대구의 가치로 기억될 것이다. 

 주제어 
 도시 문화상품, 대구 상징 이미지, 도시 정체성 


Abstract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that each city possesses can give citizens considerable cultural pride. These assets also highlight each city’s charm and stimulate visitors’ curiosity and cultural desire. They also induce the visitors’ desire to come back. In this point of view, cultural goods that actively commercialize the city’s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re very precious symbols. Cultural goods are valuably used as a medium that contribute not only to the creation of jobs but also in activating local industries. 
  At present, Daegu’s image is comprised of regional and weather characteristics that all basins have as well as the textile industry,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the past. Thus, the need to overhaul this image is consistently rai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some succession cases of other areas’ cultural goods and referred to them in extracting a symbolic image of cultural goods that can effectively represent Daegu. Then, by analyzing values within various ranges that Daegu has, this study also suggested a symbolic image that can reflect the cultural goods in terms of the city’s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 conclusion, Daegu Modern Alley and Daegu Apple are selected as the core images of Daegu’s cultural goods. In addition, it is said that efforts to reinterpret and discover Daegu’s potential image should be prioritized over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ural symbol. If the ways to consistently commercialize and promote Daegu’s symbolic image are arranged, it is possible for Daegu’s symbol, which is newly reinterpreted as Daegu’s cultural goods, to have continuous vitality and strong recall among visitors as a special city. 

Keyword 
Cultural Product of City, Symbolic Image of Daegu, City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