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교육 연계성에 관한 고찰-방경란 395-404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2-24
첨부파일 54-직장인.pdf
내용
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교육 연계성에 관한 고찰 

Discussion on the connectivity of design education in middle school curriculum 


방 경 란 
상명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Bang kyung-rhan 
Sangmyung univers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국내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에서 디자인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현행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학년의 구분 없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학교환경과 담당교사의 역할이 점차로 중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학교재량에 따라서 특정 학년이나 학기에 집중적으로 편성할 수 있기에 체계적인 적용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9종의 국내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 디자인영역의 교육내용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디자인영역에 따른 단원비중에 대한 문제, 학습자 대상에 따른 난이도 등에 대한 문제, 교과서 내 도판예시자료 선정의 적합성에 대한 문제가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단원별·학년별·영역별 연계에 의한 효과적인 통합교육으로서의 한계점으로 드러나게 된다. 즉, 국가 차원에서 제시되고 있는 국내 미술 교육의 중점방향으로서의 역사적·문화적 가치 측면, 개인적·사회적 기능활용 측면, 교과적 기초라는 세 가지 방향이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의 다각적인 연계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중학교 디자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교육의 연계성에 대한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표현’영역을 통한 응용적 측면에서의 ‘통합적 연계’, 디자인 영역을 다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감상’영역을 통한 ‘계열적 연계’이다. 또한, 교과적 기초로서의 ‘미적체험’중심의 ‘위계적 연계’가 이루어져 학년별 또는 대상별 난이도에 대한 교육내용의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중학교 교육과정, 디자인 교육, 교육 연계성 

Abstract 
The proportion occupied by areas of design in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in Korea is increasing day by day. Within the current educational process where education is achieved in an integrating manner regardless of the grade, the school environment and the role of teach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addition, as a curriculum can be organized to be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grade or semester depending on the discretion of the school, a systematic execution may face some imitation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areas of design in a total of 9 varieties of art textbooks used in Korean middles schools, it was analyzed that the following discussions would be necessary. Some of the entailing issues are, first, the issue of difficulty levels according to the teaching subjects; followed by, the issue of section weight in accordance with areas of design, the issue of appropriateness regarding the selection of example figures in the textbook. These issues would be revealed as limitations as an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that benefits from the section-specific / grade-specific / domain-specific connectivity. In other words, it is deemed that, in order for the three directions – the historical/cultural value aspects, the individual/social functionality utilization aspects, and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al foundation – that are being proposed at the national level as the focus directions of the domestic art education, a multifaceted connective educ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Thus, as an idea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education for design, the following practical challenges for curriculum connectivity are proposed in this study. They are “integrated connectivity” from the aspect of applicability through the “expression” domain and “linear connectivity” through the “appreciation” domain that enables multi-faceted utilization of areas of design. In addition, another would be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grade-specific or subject-specific difficulty levels through the form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focused “grade level connectivity” as  the curriculum foundation.   

Keyword 
middle school curriculum, design education, connectiv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