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국제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특성-김지영, 김선아 183-19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2-24
첨부파일 28-국제패션컬렉션.pdf
내용
국제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특성 
- 2000년 이후 색채 변화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appeared 
in International Fashion Collections 
- Regarding Color Variation Since 2000 - 



주저자 : 김지영 
서일대학교 의상과 부교수 
Kim, Ji 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il University 

교신저자 : 김선아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 산업학과 부교수 
Kim, Sun Ah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국제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한국 디자이너에 의한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색채의 활용현황을 제시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5년, 2006년부터 2010년,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시기별로 분류하여 한국적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색채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오방정색 위주의 색채 즉, 고채도의 빨강, 보랏빛 파랑, 그리고 노랑 그리고 무채색의 사용이 주류를 이루었던 2000년 전후와는 달리 2010년대 이후는 오방정색을 위주로 색채를 사용하기 보다는 오방정색의 정색과 정색의 혼합에서 나오는 간색을 적절하게 활용한 결과 다양한 색조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었다. 즉, 적(赤)과 흑(黑)의 간색인 자(紫)색, 적(赤)과 백(白)의 간색인 홍(紅)색, 백(白)과 청(靑)의 간색인 벽(碧)색, 황(黃)과 흑(黑)의 간색인 유황(騮黃)색 등이 다양한 색조로 나타나서, 현대의 색채 체계에서는 채도가 낮아지고 명도는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의 전통색채는 강렬한 원색 위주의 고채도와 무채색이라는 선입견에서 차차 벗어나 진정한 한국 전통색의 의미를 되찾아 가고 있으며 다양한 전통색의 활용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2000년 이후 한국의 전통색에 대한 학문적 성과가 패션컬렉션의 현장에서도 널리 인식되어 잘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한국적 패션디자인, 오방색, 전통색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lo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in 2001-2005, 2006-2010 and 2011-2014 in order to provide the color-use-status of Korean designers in global fashion shows since 2000. 
We have reviewed the meaning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in the previous study and collected colors directly from fashion photos on the web considered as Korean fashion designs by Korean designers. Col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tract Hue, Value and Chroma values by "Munsell Notation Picture Analysis" of Munsell Conversion 12.1.16 then arranged by Munsell's 40 color systems and PCCS tones. 
Various colors have been applied ever since 2010 along with mixed colors as well as 5 formal colors unlike around 2000 when 5 formal colors on Five-elements Color such as red in a high chroma, purplish blue, yellow and achromatic colors were mostly used. A large variety of colors appeared in each different tone with lower chroma and higher or lower brightness from modern color system perspective as such Ja-color(紫), secondary color between red and black, Hong-color(紅), secondary color between red and white, Byeok-color(碧), secondary color between white and blue and Ryu hwang(騮黃), secondary color between yellow and black, whish shows the recovery of true Korean colors applying diverse traditional colors gradually away from the prejudice that traditional Korean colors are achromatic colors or intense primary colors with higher chroma. We can also verify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olors has been widely recognized and well applied to fashion shows since 2000. 

Key Words 
Korean Fashion Design, Five-elements Color, Traditional 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