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적 디자인의 프로세스에 따른 디자이너 직무내용 비교분석-이지현, 이은지, 안지원, 김지은, 류림정 오누리, 장건 151-164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5-25
첨부파일 19-디자이너직무비교.pdf
내용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적 디자인의 프로세스에 따른 디자이너 직무내용 비교분석     

Comparative Job Analysis of Fashion designers 
between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nd general process 


이지현*, 이은지, 안지원, 김지은, 류림정, 오누리, 장건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 학과 
Lee jeehyun*, Lee eun-jee, Ahn jiwon, Kim jieun, Ryu limjeong, Oh nuri, Zhangjian 
Yonsei univers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본 연구는 네트워크와 소비자와의 협업을 상품의 기획·생산의 차별적 방법으로 사용하는 참여적 패션디자인 확대 현상에 주목하고,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 디자인의 프로세스 별 직무 내용 비교를 통해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확장된 업무내용과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반 패션회사와 참여적 패션회사 8곳의 디자이너·기획자를 심층인터뷰하고 인터뷰내용을 질적 자료 분석도구인 NVivo 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 디자인 프로세스의 경우, 패션디자이너에게 멀티테스커(multi-tasker)로서 시대적 패러다임의 흐름에 따를 수 있는 적응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는 직무내용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참여적 디자인의 경우는 기획과 진행 그리고 상호관계와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조정자의 역할, 웹 기반의 업무환경변화 에 적응할 수 있는 직무 수행내용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여적 디자이너의 업무내용은 디자인 의뢰자·소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창의적 아이디어와 디자인의 공유, 그리고 디자인 선별과 생산 가능한 모델로의 연계 등이 직무내용에서 우선시되는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의 직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크게 실행적 직무 내용과 조직 맥락적 직무 내용으로 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조직 맥락적 직무는 전체 디자인 전개와 제작, 생산 과정에 디자이너가 의견조정자와 기획자로서 역할을 하면서 일반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와 의 차별적 시스템을 만드는 것으로,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의 직무는 실행적 직무와 조직 맥락적 직무의 다층적이며, 통합적인 구조로 정의될 수 있었다. 
앞으로의 디자이너 직무와 역할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패션디자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스킬 중심의 제한적 역량과 직무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되고 유연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제어 
패션 디자이너의 직무 내용, 참여적 디자인 프로세스, 참여적 패션 디자인 

Abstract 
Collaborations with consumers are used as the different method to planning and production of products, unlike the traditional fashion designs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Leading by design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the expansion of participatory fashion design and Open platform and analyzed extended role object requiring to Participatory fashion designers. 
The results shows, in the general design process, the role of fashion designers as multi-taskers are required. In the cases of participatory design, facilitating roles, planning and the correlation with progression were required to designers. Also, participatory work contents of participatory designers are to overall business planning and progress control, running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are emphasis. Main jobs of general designers were to analyze the market trends and design concepts to set up and run, going through the assessment process. The main jobs of participatory designers were understanding the needs of sponsors and consumers, sharing creative ideas among stake-holders and design and control of production of selected models. 
As a result, the job of participatory designers was able to be classified largely as the operational and organizational Job description. Organization contextual Job analysis is the differential system compare to general fashion design process, the role of designers is planners serving as a mediator comment, production coordinator and facilitator during feedback process and the entire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Participatory fashion designer's job is defin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of the operational tasks and duties of the multi-layered and contextual organization.   
In the future, the changing role of designers and the job analysis of fashion expertise should be studied more and the participatory systems in fashion industry should be studied also to extend the variety of fashion system. 

keywords 
Job Analysis of Fashion Designer,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Participatory fashion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