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경영학 전공자를 위한 창의/디자인교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이현경, 이상원 141-15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5-25
첨부파일 15-경영학.pdf
내용
경영학 전공자를 위한 창의/디자인교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Survey Consequence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for Integrated Design Education 
in Business Department 



주저자 : 이현경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기초과정부 교수 
Lee Hyun-Kyu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교신저자 : 이상원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교수 
Lee Sang-Won 
Yonsei Univers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최근 국내외 대학에서 다양한 지식을 창의적, 융·복합적으로 사고하여 실제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창의적/융·복합적 사고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다양한 교수법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디자인 교육의 플랫폼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특히 디자인 전공 학부생들이 아닌 타(경영)학부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기존 디자인 수업 방법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실제 교육 사례를 통해 검증하였다. 
그 구체적인 실현 방법으로는 국내 타(경영)학부 환경에 도입되었을 때를 가정하고 창의 디자인 교수법을 설계하였는데, 이 교수법의 특징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회적 창의성을 위한 팀워크 엑티비티, 둘째, 정해진 범위 안에서의 스스로 주제 선택 및 발표하기, 셋째, 실제 참여방식의 옥션 경험하기, 넷째, 디자인 및 현대미술 전시 관람하기, 그리고 다섯째, 디자인 실무자 초빙 특강이다. 연구자들은 수업을 실시한 후 일어난 효과를 코딩 스킴에 기초하여 분류, 관찰 및 인터뷰하고,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록 제한된 조건 하의 실험이었으나 설문지, 인터뷰, 관찰 방법을 통해 창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높은 만족도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동시에 앞으로 학부수준의 창의디자인 교육이 더욱 확고히 자리 잡기 위해서는 수강인원 및 강의실 여건 조성 등의 교육환경의 개선과 동시에 강의자의 충분한 피드백 제공이 중요하다는 부가적인 결과도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디자인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시스템의 설계에 목적을 둔 이전 연구들에 비해 수용자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 방식의 효용성을 검증한 실증적 연구라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 결과가 국내 현실에 맞는 적절한 다학제적, 융·복합적, 창의적 교육의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디자인 기반 융복합적 교육 프로그램, 디자인경영 수업, 창의성 개발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verse means of integrated design education to enhance creativ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design management courses in a business major department. In this creativity-focused society where novelty and creativity generate value of learning and competitiveness, the authors argue that students today learn more effectively in pedagogical practices that emphasize holistic thinking, active learning through design-based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methodology, authors conducted mixed of quan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a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for generating results of student feedback and response after the semester ends. Our belief is that the methods explored in this article represent the seeds of a new model of education based on creative and applied learning. It is important for developing creativity based on hands-on experience, participation-centered and indirect industry experience rather than the established education that tend to transfer knowledge passively through design-bas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even in the business major department. This article presents an design-based integrated  education model with five manners: team activity focused social creativity, presentation from self-chosen topic in certain boundary, hands-on design auction experience with paddles, art and design exhibitions tour, special lecture from design professionals in field to absorb some aspect of market trends. 

Keyword 
Design-Bas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sign Management Class,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