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공간 가구디자인의 적합성 비교 분석 및 기능성 평가 연구 - 최 기, 문정인 441-45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8-26
첨부파일 51-노인가구디자인.pdf
내용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공간 가구디자인의 적합성 비교 분석 및 기능성 평가 연구 
- 일본과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공간의 가구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ppropriateness of Furniture Design in the Space of Elderly Group Homes and 
Evaluation on its Functionality 
- With the cases of furniture design in the space of elderly group homes in Japan and Korea  - 


주저자 : 최 기 
강원대학교 디자인스포츠대학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교수 
Choi Ki 
Kangwon university 

교신저자 : 문정인 
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조교수 
Moon jung-in 
Kwandong university 
------------------------------------------------
논문요약 
본 논문은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구디자인이 요양노인의 행동특성에 적합한 방향으로 개선될 경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진은 우선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정의 및 국내시설 현황,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일본의 노인요양 공간 가구디자인 우수사례를 선정, 디자인 개요를 검토하였고 국내 노인요양시설을 방문하여 가구디자인의 현황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과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 공간 가구의 디자인 적합성을 비교 분석하여 환경 개선 당위성을 검증하였으며, 디자인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가구는 사용자의 특성이 배제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이에 요양노인을 위한 맞춤형 가구디자인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사실을 사례 검토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적합한 가구디자인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가구디자인, 기능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if furniture design employed in elderly group homes in Korea will be changed appropriately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in them. 
The researchers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 of elderly group homes,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ies in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And they selected superior cases of furniture design in senior care facilities in Japan and examined the outline of design and also visited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furniture design precisely. Lastly, they comparativel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furniture design in the space of elderly group homes between Japan and Korea and verified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also suggested ways to enhance the design in it. 
In conclusion, the study has found the fact that the furniture being used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is mostly the products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properly. And with the case study, the researchers have found that it is urgently needed to develop customized furniture design for the elderly getting care in them.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possibly be applied to developing furniture design appropriate for elderly group homes in Korea afterwards, and regarding that, more detailed follow-up research will have to be conducted. 

Keyword 
Elderly Group Homes, Furniture Design,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