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조선시대 군사복식의 디자인과 조형적 특성-박가영 421-434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11-23
첨부파일 56-조선시대군사복식.pdf
내용 조선시대 군사복식의 디자인과 조형적 특성 

Desig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he Military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박 가 영 
숭의여자대학교 디자인계열 패션디자인전공 조교수 
Park ga-young 
Soongeui Women’s College 
-------------------------------------------
논문요약 
역사적으로 군사복식이 패션디자인에 미친 영향은 상당히 컸기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군사복식의 유물ㆍ문헌ㆍ회화자료를 가지고 디자인을 분석하고 조형적 특성을 추출함으로써 한국적 패션디자인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갑주(甲冑)는 트임으로 활동성을 높이고 두정 배열 속에 상징성이 있었으며 용과 봉황문양을 최고의 공예기술로 장식하였고 오방색(五方色)을 기본으로 전개한 디자인이다. 군복(軍服)은 트임이 많아서 활동적이고 가변적인 디자인이며 다목적의 기능성 의복으로 직물 문양과 오방색의 배색을 통해 장식성을 추구했다. 융복(戎服)은 치마주름으로 활동공간을 확보하고 소매가 탈착가능한 가변적 디자인이며, 주립의 재료와 장식으로 장식성이 강하였다. 방령(方領)과 전장후단(前長後短)의 옷을 중심으로 본 기타 무관복식은 디자인의 변화 폭이 넓은 의복이고 직물로 보아 화려함을 과시했던 장식적인 디자인이었다. 
조형적 특성은 다음의 네 가지로 종합할 수 있다. 첫째, 구조적 활동성은 군사복식의 필수조건으로서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활동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이다. 둘째, 가변적 기능성은 형태나 용도를 바꾸어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특성이다. 셋째, 심미적 장식성은 장군과 군사의 대외적 위용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넷째, 사회적 상징성은 오방색으로 소속부대를 표현하는 복식과 주술적 상징 의미를 담은 두정의 배열에서 발견되었다. 

주제어 
조선시대, 군사복식, 한국적 패션 디자인 

Abstract 
Military costumes have long had a strong influence on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ign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costumes in the Joseon dynasty to adapt these for Korean fashion design. For this reason, documentary records, paintings and relics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 
Armor design provided increased motional flexibility through slits and the arrangement of rivets was symbolic. Decorations included images like dragons and the phoenix, and were developed based on five-elements color. Gunbok was active wear because of its various slits and variable design. It was multipurpose functional clothing, pursued through decorative patterns and the five-elements colors of fabric. Yungbok secured an activity space via skirt pleats, and featured a variable design with detachable sleeves. The hat was gorgeously decorative thanks to its material and ornaments. Clothes with a squared neckline or a shorter back had diverse designs and were showy items. 
The analysis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First, structural activity, an indispensable condition, is the structure provided for enhancing the activity. Second, variable functionality is the characteristic of providing different functions to change the type and purpose. Third, decorative aesthetics aim to increase the external grandeur of military generals and soldiers. Fourth, social symbolism was found in the costume’s expression of the regiment through the five-elements colors, and the arrangement of rivets, which had shamanistic symbolism. 

Keyword 
Joseon Dynasty, military costume, Korean fashion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