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환경정보적 기능-정보라, 류호창 399-41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11-23
첨부파일 54-길찾기공공디자인.pdf
내용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환경정보적 기능 
- 공공청사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 

The Types of Spatial Design for ‘Way-finding’ and Environment-Informational Functions 
- Focused on lobby space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 



주저자 : 정보라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환경디자인 전공 석사과정 
Jung, bo-ra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Konkuk University 

교신저자 : 류호창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학과 교수 
Lyu, Ho-Chang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Konkuk University 
-------------------------------------------------
논문요약 
오늘날 경제 수준의 향상과 사회변화에 따라 공공청사 로비공간이 점차 대규모화 되고 복합화 됨으로 인해 동선 체계가 매우 복잡해져 사용자들의 방향감 상실이나 목적지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길찾기(way-finding)’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그에 따른 환경정보적 기능에 대하여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 공공청사 로비공간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하여 그 대안을 예시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은 공간구조화, 구역차별화, 시각정보화, 랜드마크 구축 등의 4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각각의 유형과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환경정보적 기능과의 연관성을 정리하면, 공간구조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환경정보적 기능으로는 중심성, 개방성, 명료성이 길찾기의 관점으로 분석될 수 있고, 구역차별화는 영역성, 이질성, 집중성으로, 시각정보화는 주목성, 시인성, 식별성으로, 랜드마크 구축은 방향성, 접근성, 정체성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한 국내 공공청사 로비공간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 길찾기를 도와주기 위한 공간구조의 특화, 마감재 및 색을 통한 기능적 영역 구분, 사인 체계와 같은 기본적인 공간디자인의 배려가 전반적으로 보이긴 했으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환경정보적 관점에서 볼 때 여전히 소극적이고 부분적인 적용에 그치고 있어 공공시설 로비공간에서의 길찾기는 개선의 여지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길찾기, 환경정보, 공공청사 로비공간 

Abstract 
Along with improved economic level and social concern, the lobby spaces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As a result, very complex systems of circulation cause problem of way-finding that users have trouble in finding the destination or lose the sense of direction. Hereup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informational functions of spatial design for way-finding and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s or problems of lobby spaces in Korea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o present the alternative suggestions. The spatial design for way-finding is classified into 4 types: space structuralization, area individualization, visual informationization, and building -landmark.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 -informational functions and  4 types of spatial design for way-finding are as followed; the spatial structuralization can be analyzed with environment–informational functions such as centrality, openness, and legibility; the area individualization can be analyzed with territoriality, differentiation and convergence; the visual informationization with visibility, awareness, and discrimination; the building-landmark with directivity, identity, and perceptual acces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obby spaces in domestic government office building shows that the specialized spatial structuralization for helping way-finding, area individualization through finishes and color, and consideration of visual informationization such as sign system were shown in general. But in the environment-informational viewpoint based on the user, it is just being applied in a passive and partial manner so the way-finding at the lobby spaces in government building should still be highly improved. 

Keyword 
Way-finding, Spatial environmental information, lobby space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