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대학생의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한정아 221-23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1-02-24
첨부파일 20대학생.pdf
내용 대학생의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 

The Relevance Between the Preferring Color and Coordination Style from Select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한정아 
서정대학 피부미용과 전임강사 

Han, Chungah 
Seojeong College University, Skin Care & Beauty Art Dept. Professor 

============================================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관련 선행 연구논문 고찰 
2.2. 색채이미지의 개념 
2.3. 코디네이션 스타일별 색채 유형 
3.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 실증적 연구 
3.1. 일반적 특성 
3.2.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 
3.3. 색채 선택에 대한 개념적 구조 
3.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색채 선택의 차이 비교 
3.5. 선호 스타일에 따른 선호 색채의 차이 비교 

4.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색채는 감성과 심리적 공통의 정보를 상징하기도 
하며, 개인의 환경이나 경험에 따라 사적인 정보를 
지닌다. 개성의 시대에 자신을 표출하는 뷰티 및 패 
션 코디네이션 색채는 그 시대의 보편적인 유행과 라 
이프 스타일을 고려하여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뷰티와 패션에 분야에서 특히 스타일과 연관된 색 
채의 비중은 대단히 크고, 특히 시각에 호소하는 힘 
이 강하다. 또한 상품, 형식의 성격이나 유행, 이 
미지 등을 강하고 힘있게 효과적으로 표현가능하다. 
색채는 성별, 연령별, 전공별, 선호 색채와 선호 스타 
일에 따라서 차별적인 인식과 접근이 다양하기에 안 
전성과 감성을 고려한 색채 선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에 관한 논문이다. 색채 선택의 요인 중 색채 활용도와 민감도로 구분되며, 색채 선택의 민감도가 높게 평가되었고, 성별 특성은 여성의 색채 선택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특성은 20세 이하의 색채 선택의 활용도가 높고, 전공계열에 따른 특성은 예체능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학 계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색채계열과 톤은 무채색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톤은 회색을 가미한 탁색 톤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외형적 스타일이 캐주얼, 모던한, 내추럴인 경우에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외형적 스타일이 여성적인 경우에는 중성색계열, 남성적인 경우에는 한색계열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호하는 여성 스타일이 캐주얼인 경우에는 난색과 중성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모던한, 여성적, 로맨틱, 내추럴의 여성 스타일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남성 스타일 역시 무채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색채선택, 색채와 스타일 선호도, 관련성 

Abstract 
Visual Image is revealed the expression of the color & coordination style is composed by the characteristic  preferring color consideration of the modern various cultural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impacts  from the representing personality, conformity processes, and systems. 
  The new phenomenon related in visual trend such as color i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various lifestyle and the increase in the sentimental elements. The choices are impact on the visual communication tool such as color and coordination style through the selecting preference colors and fashion style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differences of age, gender, major, or preferring tastes. The Colors of personal image expression are the most effective visual factors for showing oneself and personality to communicate with style. 
Color is the most powerful tools in showing the visu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 image making and self-image expression The empirical study focused on differences of color & coordination style relevance application between color and style perception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This questionnaire presents preferring neutral color tone for necessary tools of useful color selection related many different styles which help to improve relevance color selection.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selection through relevance the color& tone compared to the color sensitivity and color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color and tone. It can be presented to analyze the color & tone's preference the recent and future technical  style tendencies of related color planning beauty and fashion industry including domestic and global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s the main consumers. This thesis will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lor selection and style designs based on the important color and tone related to the likeness sty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visual trends. 

Keywords 
Color Selection, Preferring Color and Coordination Style, Relevance